금전적 피해를 입었는데
상대는 연락을 피하고, 돌려줄 의지도 없어 보일 때
생각하게 되는 말, "고소할 수 있을까?"
특히 돈을 빌려주고 못 받은 상황에서
'사기죄'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사기죄 고소가 가능한 조건부터
실제 고소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차근히 정리해볼게요.
무조건 사기로 고소할 수 있을까?
사기죄는 단순한 ‘채무불이행’과는 달라요.
처음부터 갚을 의사가 없었는지,
속여서 이익을 취하려 했는지가 중요한 기준입니다.
→ 돈을 빌릴 때 허위 직업, 거짓 보증, 가짜 계약 등을 내세웠다면
→ 고의성과 기망이 인정되어 사기죄 성립 가능
고소 전 확인해야 할 것
- 대화 내역, 문자, 녹취 등 증거 확보
- 상대가 실제로 돈을 받을 당시 어떤 말을 했는지
- 단순 미변제인지, 애초부터 속였던 정황이 있는지
→ 이 자료들이 고소장에 핵심 근거가 됩니다.
고소장 작성 및 접수 절차
- 관할 경찰서 or 검찰청 방문 (사건 발생지 or 피의자 주소지 기준)
- 고소장 제출 (작성 전 변호사 자문 또는 온라인 양식 활용 가능)
- 수사기관 접수 후 조사 일정 통보
- 조사 후 사건 처리 방향 결정 (기소, 불기소, 조정 등)
고소 후 유의할 점
- 허위 고소는 무고죄로 처벌될 수 있음
- 조사 기간은 수개월 걸릴 수 있음
- 민사소송과 병행할 수도 있음 (피해금 회복 목적이라면 병행 추천)
사기 피해는 심리적 충격과 금전 손해가 동시에 발생하는 사건입니다.
감정이 앞서기보다는
사실관계와 증거 중심으로 접근해야,
법적으로도 강하게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.
'형사법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예훼손으로 고소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? 사실적시와 허위사실의 차이 (0) | 2025.04.19 |
---|---|
벌금형과 집행유예는 뭐가 다를까? 형사처벌의 종류 이해하기 (0) | 2025.04.18 |
형사조정 제도란? 처벌 대신 합의를 선택할 수 있을까 (0) | 2025.04.17 |
법정모욕죄란 무엇인가요? 재판 중 말 한마디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(1) | 2025.04.16 |
정당방위란 무엇인가요? 법적으로 어디까지 허용될까 (1) | 2025.04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