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기타상식

변호사 선임은 언제 해야 할까? 법적 분쟁 대응 시점 판단법

by saveunco 2025. 4. 16.

"소송까지 갈 건 아닌데, 변호사를 선임해야 할까요?"
막상 법적인 문제가 생겼을 때
변호사를 써야 할지 혼자 대응할지 판단이 어렵죠.

이번 글에서는 변호사를 꼭 선임해야 하는 상황과,
굳이 안 써도 되는 경우를 구분하는 기준
을 알려드릴게요.


변호사 선임이 필요한 대표 상황

  1. 피의자로 수사를 받게 될 경우
    → 형사 절차는 말 한마디, 진술 하나가 중요합니다.
    → 조사 단계부터 변호인의 조력이 매우 중요합니다.
  2. 손해배상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민사 사건
    → 계약 위반, 공사대금, 상속 분쟁 등은
    법리 해석과 입증 자료가 까다롭습니다.
  3. 상대방이 먼저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
    → 정보와 대응력에서 밀리면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.
  4. 강제집행, 가압류, 가처분 등 긴급 대응이 필요한 경우
    → 절차 지연은 곧 손해로 이어질 수 있어요.

꼭 변호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

  • 소액소송 (3천만 원 이하)
  • 간단한 채무·계약 분쟁 (입증자료 명확할 경우)
  • 내용증명 발송, 민원서류 작성 등
    → 이런 경우엔 법률구조공단이나 무료 상담센터를 활용해도 충분합니다.

선임할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

  • 사건 요약문: 발생 시점, 상대방, 피해 내용 간단히 정리
  • 증거 자료 목록: 문자, 계약서, 녹취록, 사진 등
  • 질문 리스트: 어떤 점이 궁금한지 메모해두면 상담 효율 ↑

그리고 너무 많은 로펌을 비교하기보다
1~2군데에서 깊이 있게 상담받는 것이 오히려 좋습니다.

댓글